전체 글
-
Intel NUC10i5FNH SSD 증설OS/Linux 2021. 2. 8. 04:36
오래전부터 Homelab의 중심을 잡기위해 서버를 한대 두고 싶었는데, 랙서버는 아무래도 부담이 되어 베어본형태의 소형 장비를 생각했었다. 그러던 중에 Intel에서 만드는 NUC에 관심이 갔고, 조금 찾아보니 esxi도 잘 올라간다하니 기쁜마음으로 들이기로 결정해서 중고나라를 통해 구매했다. 거의 새 제품의 NUC10i5FNH 과 16GB 메모리와 M.2 SSD 256GB를 포함해서 64만원에 구매했으니, 나름 합리적인 소비였던것 같다. datastore를 기본 내장 SSD를 공유해서 사용하기엔 빠듯하여 NAS를 datastore로 마운트해서 VM의 storage 영역으로 사용했다. 그런데 위치를 옮기거나 NAS의 Reboot이 필요하거나 연결된 스위치를 조정할때마다 매번 VM을 끄고 옮겨야 하는게 불..
-
20210207 homelabOS/Linux 2021. 2. 7. 02:59
조금씩 꾸준히 homelab을 꾸미고 있다. 사진은 2021년 2월 7일의 모습. 왼쪽 위부터 스펙은 아래와 같다. - 강원전자 NM-H500A - Netgear ProSAFE GS108PE - Unifi Security Gateway - LGU+ 기가와이파이(GAPM-7200) - Raspberry Pi 4 Model B - Intel NUC10i5FNH - Synology DS918+ (w/ WD RED 4TB*4EA, RAID5) 랙외에 있는 장비로는 아래.. 등등이 있다. - UniFi AP AC LITE - Asrock Deskmini A300 (AMD Ryzen3 2200G) - LENOVO E450 최근에 랙을 구매하면서 아직 정돈되지는 않은 모습인데, 시간날때 선반과 케이블 정리를 한번해야..
-
github deploy key 생성, 찾기Security 2021. 1. 20. 09:53
github에서 repository 별로 deploy key를 생성할 수 있다. key를 통해서 소스를 배포하거나 push하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key 생성은 shell 환경에서 command로 하게된다. ssh-keygen key정보를 입력하면 interaction으로 몇가지를 입력하면 private key와 public key가 생성된다. github에 등록하는건 public key이고 private key를 가지고 있으면 public key가 등록된 곳의 권한을 취득하는 방식으로 보면된다. private key는 노출되면 안 된다. public key 등록은 github Repository의 Setttings탭의 Deploy keys 메뉴에서 Add deploy key를 통해 등록한다. ..
-
DNS 캐시초기화OS 2021. 1. 17. 21:45
홈 네트워크에서 DNS로 bind9을 사용하고 있다. 집 안에서 IP로 연결되는 모든 기기는 내부 DNS를 거치게 되는데 도메인을 변경하면서 캐시가 계속 남는듯하다. DNS서버에서는 아래와 같이 처리한다. rndc flushname blog.junshoong.net Windows 에서는 cmd.exe를 열고 아래와 같이 처리한다. ipconfig /flushdns 크롬 브라우저에서는 주소입력창에 아래 내용을 입력해서 페이지 접근후 chrome://net-internals/#dns Clear host cache를 클릭한다. linux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하는 패키지 별로 차이가 있는듯 하다. nscd (Name Service Cache Deamon) 을 사용하는 경우 systemctl restart n..